안녕하세요, 이 글에서는 시장구조와 시장실패의 개념과 예시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시장구조란 시장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공급하고 수요 하는 기업과 소비자의 특성과 행동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시장구조에는 완전경쟁, 독점, 과점, 불완전경쟁 등이 있습니다. 시장실패란 자유시장에서 자유롭게 결정된 가격과 수량이 사회적 효율성을 달성하지 못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시장실패에는 외부효과, 공공재, 정보의 비대칭, 시장통제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구글 앱시장 소송 사례를 통해 시장구조와 시장실패를 살펴보겠습니다.

 

구글 앱시장 소송 사례

 

구글 앱시장 소송 사례란 2021년 7월 미국 36개 주와 워싱턴 D.C. 가 구글을 상대로 제기한 독점금지법 위반 소송입니다. 이 소송은 구글이 안드로이드 앱시장에서 자신의 구글 플레이 스토어만을  우대하고 경쟁사를 억압한 것으로 주장하는데서 오는 다툼입니다. 그로 인해 독점금지법을 구글이 위반했다는 주장입니다. 그리고 구글이 앱 개발자와 사용자에게 구글 플레이 결제 서비스를 강요하고, 거래당 최대 30%의 수수료를 부과한 것으로 주장합니다.

이소송의 결과는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구글과 원고들은 원칙적인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합의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며, 30일 이내에 장기적인 합의안을 작성할 예정리라고 합니다.

 

구글 앱시장의 시장구조

 

구글 앱시장의 시장구조는 독점적 경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독점적 경쟁이란 많은 수의 판매자와 많은 수의 구매자가 존재하고, 상품 간에는 차별화가 있으나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말합니다.

구글 앱시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앱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각 앱들은 자신만의 특징과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앱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가격과 품질에 따라 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앱시장의 시장실패

 

구글 앱시장의 시장실패는 시장 통제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시장 통제란 판매자나 구매자가 시장에서 가격을 결정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권력을 가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구글 앱시장에서는 구글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지배적인 점유율과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우위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가격과 조건을 강제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앱 개발자들은 과도한 수수료를 부담하게 되고, 소비자들은 높은 가격을 지불하게 됩니다. 이는 사회적 효율성을 저해하고, 경제적 복지를 감소시킵니다.

 

시장실패의 해결 방안

 

시장실패의 해결 방안으로는 정부의 개입이나 사적인 해결책이 있습니다. 정부의 개입은 법률이나 규제를 통해 시장의 불균형을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 예로, 정부는 구글에게 가격과 조건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제한하거나,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분할을 명령할 수 있습니다.

사적인 해결책은 시장 참여자들이 자발적으로 협력하거나 경쟁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컨대, 앱 개발자들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다른 앱스토어에 입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들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구매하지 않고, 다른 앱스토어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장구조와 시장실패의 개념과 그 예시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구글 앱시장 소송 사례를 통해 시장구조와 시장실패를 분석하고 해결 방안에 대해 정리하고 살펴보았습니다. 

저의 글은 경제 신문을 자유롭게 읽고 이해하며, 경제관념을 키우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일상의 돈 되는 정보를 공유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목적은 결국 돈을 잘 알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저와 뜻을 함께 하시는 분들은 이글 이외의 글도 읽어 보시고 이해와 정보를 얻어가셨으면 합니다. 제가 공부하는 내용을 기록하는 것인 만큼 저의 발전이 곧 이 글을 읽으시는 구독자 분들의 발전이라 생각하며, 열심히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